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함수 그래프의 대칭 조건에 대한 자세한 이해 (고1수학 도형의 방정식)

본문

반응형

함수 그래프의 대칭 조건에 대한 자세한 이해 (고1수학 도형의 방정식)

코사인 함수의 그래프
코사인 삼각비를 통해 y축에 대칭인 다양한 함수의 그래프를 만들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holymath입니다. 이 카테고리의 포스팅은 2015개정 고등학교 1학년 수학의 개념을 보다 쉽고 자세히 이해할 수 있도록 해설하는 글입니다. 수학을 공부할 때는 공식과 문제 푸는 요령을 외워서 푸는 게 아니라 개념이 만들어진 근본적인 원리와 개념들 사이의 연관성을 생각하면서 공부해야 합니다. 이 포스팅을 통해 교과서나 참고서에 있는 수학 개념을 제대로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도형의 대칭이동에 대한 3번째 포스팅입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대칭을 이루는 함수의 그래프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우함수와 기함수

일반적으로 함수 $y=f(x)$의 그래프가 $y$축에 대하여 대칭을 이루면 우함수, 원점에 대하여 대칭을 이루면 기함수라 부릅니다.

즉, 우함수는 그래프를 $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해도 그 결과가 변하지 않는 함수이죠. 이것을 방정식 $y=f(x)$에 적용하면 $y=f(x)$와 $y=f(-x)$가 같은 도형의 방정식을 나타내므로 $f(-x)=f(x)$가 성립합니다.

또한, 기함수는 그래프를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동해도 그 결과가 변하지 않는 함수이므로 이것을 방정식 $y=f(x)$에 적용하면 $y=f(x)$와 $-y=f(-x)$ 즉, $y=-f(-x)$가 같은 도형의 방정식을 나타내므로 $f(-x)=-f(x)$가 성립합니다.

이상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우함수와 기함수의 성질

우함수와 기함수라는 용어 자체는 교육과정에서 다루지 않으나, 이 두 가지 유형은 함수 관련 문제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특히 수학Ⅱ에서 함수의 정적분을 구할 때, 빛을 발합니다.

예를 들어, $y=2$, $y=x^2$, $y=x^4$, $y=\left| x\right|$ 등은 우함수이고, $y=x^3$, $y=x^5$, $y=x\left| x\right|$ 등은 기함수입니다.

추가적으로 두 함수 $f(x)$, $g(x)$에 대하여

$f(x)$, $g(x)$가 모두 우함수이면 $f(-x)g(-x)=f(x)g(x)$이므로 $f(x)g(x)$는 우함수입니다.

$f(x)$, $g(x)$가 모두 기함수이면 $f(-x)g(-x)=\left\{ -f(x) \right\} \left\{ -g(x) \right\} =f(x)g(x)$이므로 $f(x)g(x)$는 우함수입니다.

$f(x)$는 우함수, $g(x)$는 기함수이면 $f(-x)g(-x)=f(x) \left\{-g(x) \right\}=-f(x)g(x)$이므로 $f(x)g(x)$는 기함수입니다.

이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즉, 우함수는 (+)부호처럼 함수의 성질을 바꾸지 않으며 기함수는 (-)부호처럼 함수의 성질을 바꾸는 것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참고로 우함수의 우(偶)는 짝을 나타내고 기함수의 기(奇)는 기이하다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우함수)$\times$(우함수)$=$(우함수)
(우함수)$\times$(기함수)$=$(기함수)
(기함수)$\times$(기함수)$=$(우함수)

 

● 직선 $x=p$와 점 $(p,~q)$에 대하여 대칭인 함수

도형 $y=f(x)$를 직선 $x=p$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도형의 방정식은 $y=f(2p-x)$이죠. 따라서 이 도형 자체가 $x=p$에 대하여 대칭을 이룬다면 $f(x)=f(2p-x)$가 성립합니다.

이 관계에서 중요한 점은 $f$안의 두 변수 $x$와 $2p-x$를 더하면 $2p$가 된다는 사실입니다. 즉, 두 변수의 평균이 $p$가 되므로 $x=p$에 대하여 대칭을 이루는 것이죠. 따라서 $f(x)=f(2p-x)$뿐만 아니라 $f(p+x)=f(p-x)$나 $f(3p-x)=f(x-p)$ 등 두 변수를 더해서 $2p$가 되는 모든 관계식은 함수의 그래프가 $x=p$에 대하여 대칭을 이루도록 합니다. 

또한, 도형 $y=f(x)$를 점 $(p,~q)$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도형의 방정식은 $2q-y=f(2p-x)$이죠. 마찬가지로, 도형 자체가  $(p,~q)$에 대하여 대칭을 이룬다면 두 방정식이 같은 도형을 나타내므로 $y=2q-f(2p-x)$로부터 $2q-f(2p-x)=f(x)$ 즉, $f(x)+f(2p-x)=2q$가 됩니다. 이때에도 $f(p+x)+f(p-x)=2q$나 $f(3p-x)+f(x-p)=2q$ 등 $f$안의 두 변수를 더해서 $2p$가 되는 모든 관계식은 함수의 그래프가 점 $(p,~q)$에 대하여 대칭을 이루도록 합니다. 

아래의 문제는 좀 오래된 기출문제이고 요즘은 이런 식으로 교과서에 없는 이론을 직접적으로 묻는 경우는 없으나, 간접적으로 이용할 경우 문제가 수월하게 풀리는 상황은 일어날 수 있으므로 참고 삼아 풀어보겠습니다.

 

예제1

이차함수 $f(x)$는 다음 두 조건을 만족시킨다.

(가)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3-x)=f(3+x)$이다.
(나) $y=f(x)$의 그래프는 두 점 $(-1,~2)$, $(4,~17)$을 지난다.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2010.11/4점]

<보기>
ㄱ. $y=f(x)$의 그래프는 직선 $x=3$에 대하여 대칭이다.
ㄴ. $1\leq x\leq8  $에서 이차함수 $f(x)$의 최솟값은 $-7$이다.
ㄷ. $g(x)=f(x+3)$일 때,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g(-x)=-g(x)$이다.

① ㄱ     ② 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더보기

ㄱ. (가) 조건에서 $(3-x)+(3+x)=6$이므로 그래프는 직선 $x=3$에 대하여 대칭입니다. 따라서 ㄱ은 참입니다.

ㄴ. 이차함수 $f(x)$의 그래프가 $x=3$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이 그래프의 꼭짓점의 $x$좌표는 3입니다. 따라서 $f(x)=a(x-3)^2+q$와 같이 놓을 수 있습니다.

이제, 두 점 $(-1,~2)$, $(4,~17)$을 대입하면 미지수 $a$와 $q$의 값을 구할 수 있겠죠. 따라서

$f(-1)=a(-1-3)^2+q=16a+q=2$
$f(4)=a(4-3)^2+q=a+q=17$

두 식을 연립하면 $a=-1$, $q=18$

따라서 $f(x)=-(x-3)^2+18$입니다.

따라서 $y=f(x)$의 그래프는 위로 볼록이므로 $1\leq x\leq8  $의 범위에서 $f(x)$의 최솟값은 $x=3$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x=8$을 대입한 $f(8)=-(8-3)^2+18=-7$이 됩니다. 따라서 ㄴ도 참입니다.

ㄷ. $g(x)=f(x+3)$이면 $y=g(x)$의 그래프는 $y=f(x)$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3$만큼 평행이동한 그래프가 되죠. 그런데 $y=f(x)$는 직선 $x=3$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y=g(x)$의 그래프는 직선 $x=0$ 즉, $y$축에 대하여 대칭입니다. 즉, $y=f(x)$의 대칭축인 $x=3$ 또한 $x$축의 방향으로 $-3$만큼 평행이동한 $x=0$가 $y=g(x)$의 대칭축이 되는 거죠.
따라서 $g(-x)=g(x)$가 성립합니다.
그런데 ㄷ에서는 그래프가 원점 대칭인 함수의 특징을 진술하였으므로 ㄷ은 거짓입니다.

이상으로부터 답은 번입니다.


 

♥ 이해가 잘 되셨다면 공감과 선플은 포스팅 강의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 이해가 잘 안 되신 부분은 댓글을 통해 질문을 주세요.
 본문의 내용은 추가, 보완될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