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holymath입니다. 이 카테고리의 포스팅은 2015개정 고등학교 1학년 수학의 개념을 보다 쉽고 자세히 이해할 수 있도록 해설하는 글입니다. 수학을 공부할 때는 공식과 문제 푸는 요령을 외워서 푸는 게 아니라 개념이 만들어진 근본적인 원리와 개념들 사이의 연관성을 생각하면서 공부해야 합니다. 이 포스팅을 통해 교과서나 참고서에 있는 수학 개념을 제대로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오늘의 포스팅은 집합 단원의 마지막으로 이제까지 배운 개념이 어떤 유형의 문제에서 활용될 수 있는지 5개의 예제를 풀어보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전체집합
우선
부분집합은
그렇다면 나머지
그렇다면 나머지
이상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따라서 구하려는
따라서 답은
교집합에서는 다음과 같이 약수나 배수와 관련된 문제를 흔히 물어볼 수 있습니다.
두 집합
또한,
따라서
다음 문제에서는 이전에 합집합과 교집합의 원소의 개수를 구할 때 정리했던 다음의 성질을 이용합니다.
전체 학생이 40명인 어느 반에서 A 소설을 읽은 학생은 28명, B 소설을 읽은 학생은 20명이었다. 두 소설 A, B를 모두 읽은 학생 수의 최댓값
A 소설을 읽은 학생의 집합을
우선
이제
따라서
따라서
3개의 집합의 합집합으로 된 집합의 원소의 개수를 구할 때는 다음과 같은 공식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직전 교육과정에서는 이 공식을 이용한 문제와 해설이 교과서에서도 소개가 되었습니다.
그런데 최근의 교육과정에서는 이런 것들이 일체 사라져서 이제 저 공식은 필수가 아니게 되었습니다. 간혹 3개의 집합 사이에서 특정 집합의 원소의 개수를 구하는 문제가 출제되어도 위의 공식 없이 벤다이어그램만으로 풀 수 있는 경우만 출제하고 있습니다.
아래의 문제는 이 공식을 다루었을 때 출제된 문제이나 공식 없이 접근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반적으로도 3개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연산 문제는 이렇게 접근해서 풀 수 있습니다.
어느 고등학교 반 학생 35명을 대상으로 세 종류의 책 A, B, C를 읽었는지를 조사하였더니 A를 읽은 학생이 14명, B를 읽은 학생이 16명, C를 읽은 학생이 15명이었다. 또, A와 B 중 적어도 하나를 읽은 학생이 22명이고 A와 C를 모두 읽은 학생은 한 명도 없었으며, A, B, C 중에서 어느 책도 읽지 않은 학생이 3명이었다. 이때 A, B, C 중 두 종류의 책만 읽은 학생의 수를 구하시오. [2008.03/4점]
문제 풀이를 위해 책 A, B, C를 읽은 학생들의 집합을 각각
그리고 쉬운 영역부터 하나씩 채우기 위해 문제에서 뒷부분부터 다시 읽어보겠습니다. 우선 A와 C를 읽은 학생이 한 명도 없었다고 했으므로 위와 같이
또한, A, B, C 중에서 어느 책도 읽지 않은 학생이 3명이라고 했으므로 위와 같이
그렇다면 반대로
이제 A와 B중 적어도 하나를 읽은 학생이 22명이므로
그런데
이제 남은 영역을 채우기 위해 위와 같이
위에서
그리고
또한
두 식
문제에서 요구한 두 종류의 책만 읽은 학생들이 속한 영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따라서 구하는 학생의 수는
대부분의 집합 연산 문제는 벤다이어그램을 그리면 해결됩니다. 그러나 추후 명제를 공부하면 증명이란 용어가 공식적으로 등장하는데 그림을 통한 풀이는 수학적으로 증명이라고 부르지는 않습니다. 다음과 같이 벤다이어그램을 배제한 풀이를 서술형에서 요구할 수도 있으니 연산법칙을 어떻게 적용하는지 참고하세요.
두 집합
차집합의 성질에 의해
드모르간의 법칙에 의해
식
중괄호 안의 식끼리 각각 분배법칙을 한번 더 적용하여 전개하면
다시 드모르간의 법칙을 적용해서 차집합으로 변환하고 합집합의 교환법칙을 적용하면 다음과 같이 증명이 완성됩니다.
위의 예제에서 다룬 집합을
그림으로 보다시피
단, 위의 예제와 같이 연산법칙이나 성질을 이용하여 수식 전개를 요구하는 문제를 학교 시험에서 출제할 가능성이 있으니 그 과정과 사용된 성질을 잘 참고해 두시기 바랍니다.
♥ 이해가 잘 되셨다면 공감과 선플은 포스팅 강의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 이해가 잘 안 되신 부분은 댓글을 통해 질문을 주세요.
♥ 본문의 내용은 추가, 보완될 수 있습니다.
명제와 조건의 부정 및 '그리고'와 '또는'의 관계 (고1수학 집합과 명제) (8) | 2022.08.18 |
---|---|
명제와 조건, 진리집합에 대한 자세한 이해 (고1수학 집합과 명제) (8) | 2022.08.13 |
집합의 활용 - 수 체계의 집합 표현 및 포함 관계 (고1수학 집합과 명제) (6) | 2022.08.06 |
집합의 연산 - 드모르간의 법칙에 대한 쉽고 자세한 이해 (고1수학 집합과 명제) (0) | 2022.08.02 |
집합의 연산 - 여집합과 차집합의 기본 개념 이해 (고1수학 집합과 명제) (0) | 2022.07.31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