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holymath입니다. 이 카테고리의 포스팅은 2015개정 고등학교 1학년 수학의 개념을 보다 쉽고 자세히 이해할 수 있도록 해설하는 글입니다. 수학을 공부할 때는 공식과 문제 푸는 요령을 외워서 푸는 게 아니라 개념이 만들어진 근본적인 원리와 개념들 사이의 연관성을 생각하면서 공부해야 합니다. 이 포스팅을 통해 교과서나 참고서에 있는 수학 개념을 제대로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지난 포스팅에서 합집합과 교집합의 개념을 알아봤습니다. 수의 연산에서는 덧셈과 곱셈뿐만 아니라 그 반대의 연산인 뺄셈과 나눗셈까지 존재하죠. 집합에서도 뺄셈을 정의할 수 있습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여집합, 차집합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수학에서는 부정어인 '아니다'를 통해서 개념을 정의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대표적인 예가 무리수이죠. 무리수는 실수 중에서 유리수가 아닌 수를 의미합니다.
이와 같이 집합에서도 해당 집합에 들어있지 않은 원소들의 집합을 정의할 필요가 있죠. 그런데 해당하지 않는 원소들을 어떤 범위까지 생각할 것인지가 문제이므로 집합에서는 다음과 같이 모든 원소를 가진 전체집합을 먼저 정의한 다음, 그 안에서 여집합을 정의합니다.
어떤 집합에 대하여 그 부분집합을 생각할 때, 처음의 집합을 전체집합이라 하고, 이것을 기호로 전체집합 |
전체집합
즉, 조건제시법으로 나타낸 정의와 벤다이어그램으로 나타낸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어차피 원소를 전체집합 내에서 생각한다면 위의 정의에서
다음 예시를 통해 여집합의 개념을 익혀봅시다.
전체집합
따라서 모든 원소의 합은 1+2+3=6
집합에서의 뺄셈은 다음과 같이 정의합니다.
두 집합 |
이것을 조건제시법과 벤다이어그램으로 니타 내면 다음과 같습니다.
위의 조건제시법에서
다음 예시를 통해 차집합의 개념을 익혀봅시다.
전체집합
벤다이어그램을 그려서 조건에 따라 각 영역에 모든 원소들을 표시하고 나면 남은 원소 5, 9, 10이 들어갈 자리는 다음과 같이
따라서
집합에 대한 다양한 연산을 하기 위해서는 합집합과 교집합에 대한 연산법칙과 더불어 여집합과 차집합에 대한 여러 가지 성질들을 알고 있어야 합니다. 아래에 정리된 모든 성질들은 벤다이어그램을 그려서 조금만 생각해 보면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내용들입니다.
성질 | 보조설명 |
여집합의 여집합은 자기자신으로 돌아옵니다. 켤레복소수의 켤레복소수는 원래의 복소수로 돌아오는 것과 같은 이치죠. | |
모든 원소들은 |
|
여집합은 어떤 집합을 만드는데 쓰인 원소를 제외하고 남는 원소들의 집합을 의미하죠. 모든 원소가 집합 |
|
마찬가지로 공집합을 만들때는 아무런 원소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모든 원소들이 남아있게 됩니다. 따라서 |
|
차집합의 의미를 조금만 생각해보면 바로 성립하는 등식입니다. ![]() |
|
추가적으로 다음과 같은 등식도 종종 이용됩니다. 이것 역시 벤다이어그램을 통해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죠.
위의 등식은
전체집합
①
즉,
이 식을
그런데
그런데
결국, 이 두 방정식 모두를 만족하는
♥ 이해가 잘 되셨다면 공감과 선플은 포스팅 강의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 이해가 잘 안 되신 부분은 댓글을 통해 질문을 주세요.
♥ 본문의 내용은 추가, 보완될 수 있습니다.
집합의 활용 - 수 체계의 집합 표현 및 포함 관계 (고1수학 집합과 명제) (6) | 2022.08.06 |
---|---|
집합의 연산 - 드모르간의 법칙에 대한 쉽고 자세한 이해 (고1수학 집합과 명제) (0) | 2022.08.02 |
집합의 연산 - 합집합과 교집합의 기본 개념 이해 (고1수학 집합과 명제) (0) | 2022.07.29 |
집합 사이의 포함 관계 및 부분집합의 개념 이해 (고1수학 집합과 명제, 부분 집합의 개수 구하기) (1) | 2022.07.26 |
집합과 원소, 원소나열법, 조건제시법, 벤다이어그램의 개념 이해 (고1 수학 집합과 명제) (5) | 2022.07.24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