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유리함수 y=(ax+b)/(cx+d)에 대한 자세한 이해 (고1 수학 함수 개념)

고1 수학의 남다른 개념/함수

by holymath 2022. 12. 15. 15:11

본문

반응형

유리함수 y=(ax+b)/(cx+d)에 대한 자세한 이해 (고1 수학 함수 개념)

행성의 회합주기
행성의 회합주기는 태양을 중심으로 행성이 지구와 일직선을 이루는 주기를 말합니다. 태양으로부터 지구보다 멀리 떨어진 외행성의 공전주기를 x라 하면 이 행성과 지구가 태양과 일직선을 이루는 주기는 유리함수 365x/(x-365) (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holymath의 캐릭터이미지

 안녕하세요? holymath입니다. 이 카테고리의 포스팅은 2015개정 고등학교 1학년 수학의 개념을 보다 쉽고 자세히 이해할 수 있도록 해설하는 글입니다. 수학을 공부할 때는 공식과 문제 푸는 요령을 외워서 푸는 게 아니라 개념이 만들어진 근본적인 원리와 개념들 사이의 연관성을 생각하면서 공부해야 합니다. 이 포스팅을 통해 교과서나 참고서에 있는 수학 개념을 제대로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지난 포스팅에서 y=k/(x-p)+q 형태의 유리함수의 그래프를 탐구하였습니다. 이제 고등학교 유리함수 유형의 마지막 단계로 일차식과 일차식의 비로 이루어진 y=(ax+b)/(cx+d) 형태의 유리함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y=(ax+b)/(cx+d)와 y=k/(x-p)+q의 관계

이전부터 조금씩 언급했는데 y=ax+bcx+d형태의 유리함수는 y=kxp+q형태의 유리함수 식을 통분하여 하나의 분수로 나타낸 함수입니다. 따라서 이런 함수의 성질을 분석하려면 다음과 같이 y=kxp+q의 형태로 되돌려주면 됩니다.

유리함수 y=(2x+5)/(x+1)의 그래프 그리는 법
출처: EBS 수학의 왕도 수학 하

 위의 예시처럼 함수 y=2x+5x+1는 수식을 y=3x+1+2로 바꿀 수 있어요. 그리고 이 함수는 y=3x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1만큼, y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결국 함수 y=2x+5x+1의 그래프는 함수 y=3x의 그래프와 합동이 됩니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에는 다음과 같이 앞에서 배운 다항식의 나눗셈 개념이 이용됩니다. 즉, 몫이 붙어있는 식은 나누어 떨어지므로 말 그대로 분수 밖으로 떨어져 나가고, 나머지는 말 그대로 분자에 그대로 남게 됩니다.

나눗셈을 통해 분수식을 정리하는 과정

 이런 식으로 풀어내면 결국 y=ax+bcx+d형태의 유리함수 또한 y=kx형태의 반비례 함수의 그래프를 평행이동시켜서 만들 수 있는 함수가 됩니다.

유리함수 y=(ax+b)/(cx+d)의 그래프를 그리는 절차
출처: EBS 수학의 왕도 수학 하

 

 y=(ax+b)/(cx+d)가 어떤 y=k/x의 그래프와 합동이 되기 위한 조건

단, 함수 y=ax+bcx+d에서 상수 a, b, c, d가 어떠한 값이든 그래프가 반비례 함수와 합동이 되도록 그려지는 것은 아니에요. 학생 여러분이 공부하는 교과서를 보시면 해당 내용에는 adbc0c0라는 조건이 따라붙습니다. 그럼 이 조건이 왜 필요한지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c0라는 조건은 간단히 확인할 수 있어요. 만약 c=0이 되면 함수 y=ax+bcx+dy=ax+bd가 됩니다. 즉, 분모가 상수가 되죠. 그럼 이 함수는 일차함수가 되므로 그래프는 곡선이 아니라 직선으로 그려지게 됩니다.

이제 c0임을 전제로 하고 식 ax+bcx+d를 직접 나눗셈을 하여 kxp+q의 꼴로 바꿔보면

식 (ax+b)/(cx+d)를 나눗셈으로 정리하는 과정

여기서 adbc=0일 경우 양변을 c로 나누면

b-(ad)/c=0

이것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 함수를 상수함수로 만들게 됩니다.

(ax+b)/(cx+d)가 상수가 되는 과정

즉, ax+b, cx+d의 비가 이들의 최고차항의 계수 a, c의 비로 일정한 값을 갖게 되는 거죠. 예를 들면 4x+22x+1=2가 되는 두 식 4x+2, 2x+1에서 adbc를 계산하면 4×1+2×2=0이 됩니다.

따라서 이런 경우는 함수 y=ax+bcx+d가 상수함수가 되어 그래프가 역시 직선을 그립니다. 완전한 직선은 아니고 분모가 0이 되는 점 (dc, ac)는 뚫려있는 직선이 되죠.

물론 c=0로 인한 일차함수나 adbc=0로 인한 상수함수 모두 유리함수임에는 변화가 없어요. 단, 유리함수 y=ax+bcx+d의 그래프가 우리가 배운 반비례 함수의 그래프처럼 십자가 모양의 점근선을 따라 곡선이 그려지도록 하려면 adbc0c0이라는 조건이 따라야만 합니다.

 

예제1

유리함수 y=2x3x4의 그래프에서 점근선의 방정식이 x=p, y=q일 때, p+q의 값은?  [2015(고2).03/3점]

6     ② 7     ③ 8     ④ 9     ⑤ 10

문제 해설 보기

다음과 같이 분자를 분모로 나누어서 나타냅니다.

y=(2x-3)/(x-4)를 정리하는 과정

따라서 점근선은 x=4y=2이므로 p+q=4+2=6입니다.

따라서 답은 번입니다.


 

예제2

함수 y=ax+bx+c의 그래프가 다음과 같을 때 상수 a, b, c대하여 abc의 값을 구하시오.  [좋은책 신사고 수학 변형]

문제의 함수의 그래프

문제 해설 보기

주어진 식을 해석하여 그래프를 그릴 줄 아는 것도 중요하지만, 수학에서는 항상 거꾸로 생각하는 능력도 중요하게 다루어집니다. 이 문제처럼 그래프를 먼저 갖다 놓고 이걸 그려내는 수식을 추론하는 방식도 역발상에 해당되죠.

이런 문제에서도 핵심은 역시 점근선입니다. 구하려는 함수의 식에는 미지수가 3개나 되지만 점근선이 x=2, y=1임을 이용하여 주어진 함수의 식을 다음과 같이 바꾸면 미지수는 1개로 줄어듭니다.

y=k/(x-2)+1

이제 k의 값을 구하기 위해 그래프를 통해 이 함수의 특징을 하나만 더 찾으면 되겠죠. y절편이 2이므로 점 (0, 2)를 지난다는 것을 이용하면

   2=k2+1
   k2=1
   k=2

이렇게 해서 함수의 식을 완성할 수 있습니다. 이제 이 식을 다시 통분하면

완성된 식을 통분하는 과정

따라서 a=1, b=4, c=2이므로 abc=8입니다.


 

예제3

그림과 같이 AB=BC=CD=2, AD=3인 등변사다리꼴 ABCD에서 선분 BC 위를 움직이는 점을 E, 직선 AE와 직선 CD의 교점을 F라 하자. 점 C와 점 E 사이의 거리를 x (0x2), 점 C와 점 F 사이의 거리를 f(x)라 할 때, 함수 y=f(x)의 그래프의 모양으로 알맞은 것은?  [2015(고2).09/4점]

예제3 문제에서 제시된 도형 그림
그래프 5개가 제시된 보기

문제 해설 보기

 

이 문제에서 핵심 아이디어는 f(x)와 x의 관계를 파악하는 겁니다. 그래서 이 관계를 구하기 위해 필요한 원리는 두 삼각형 AFD와 EFC가 닮음이라는 점입니다. 따라서 다음의 비례식이 성립합니다.

    AD:EC=DF:CF

    3:x=f(x)+2:f(x)

    xf(x)+2x=3f(x)
    (x3)f(x)=2x
    f(x)=2xx3
    =2(x3)6x3
    =6x32

따라서 y=f(x)의 그래프는 두 직선 x=3, y=2을 점근선으로 하며 점근선으로 나누어진 네 영역 중 왼쪽 윗부분과 오른쪽 아랫부분에 곡선이 그려지는 형태입니다. 단, 0x2의 범위에서만 그려지죠.

또한, f(x)=2xx3이므로 그래프는 원점을 지납니다.

따라서 이를 만족하는 그래프는 번입니다.


 

♥ 이해가 잘 되셨다면 공감과 선플은 포스팅 강의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 이해가 잘 안 되신 부분은 댓글을 통해 질문을 주세요.
 본문의 내용은 추가, 보완될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