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holymath입니다. 이 카테고리의 포스팅은 2015개정 고등학교 1학년 수학의 개념을 보다 쉽고 자세히 이해할 수 있도록 해설하는 글입니다. 수학을 공부할 때는 공식과 문제 푸는 요령을 외워서 푸는 게 아니라 개념이 만들어진 근본적인 원리와 개념들 사이의 연관성을 생각하면서 공부해야 합니다. 이 포스팅을 통해 교과서나 참고서에 있는 수학 개념을 제대로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이전 포스팅까지 유리함수를 정의하고 반비례 함수인 y=k/x의 그래프를 공부해 봤습니다. 이것 말고도 유리함수는 식을 어떻게 꾸미느냐에 그 종류는 무수히 많지만,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유리함수는 일차식과 일차식의 비로 이루어진 함수까지만 공부합니다. 그리고 그 함수의 그래프의 모양은 함수 y=k/x의 그래프와 같습니다. 그렇다면 이들 간의 차이는 무엇일까요?
위의 질문의 답은 바로 평행이동입니다. 평행이동은 도형의 방정식 단원에서 공부했던 내용이고 도형의 이동 중에 가장 기본이고 기초가 되는 이동이죠. 그리고 유리함수
그리고 이 함수까지 도달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중학교에서 이차함수를 공부할 때도
이렇게 평행이동을 하면 그래프와 관련된 모든 성질들이 함께 평행이동을 하게 됩니다. 우선
그리고 유리함수의 그래프를 해석하는데 가장 중요한 것이 점근선이라고 했죠. 이 점근선 또한 평행이동을 하여 대칭의 중심인
그리고 정의역과 치역, 대칭축까지 포함하여 총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유리함수 |
① 정의역은 ② ③ 점 ④ 점근선은 두 직선 ⑤ |
이러한 함수의 그래프를 그릴 때는
예를 들어, 함수
그리고 이 그래프를 평행이동하면 되는데 유리함수의 그래프는 곡선 모양이므로 상대적으로 다루기 쉬운 점근선을 먼저 평행이동합니다. 즉, 위의 그림에서
이렇게 하면 기존의 두 꼭짓점
이렇듯 유리함수의 그래프의 평행이동은 점근선의 평행이동에 주목해야 합니다. 이전에도 얘기했듯이 점근선은 다루기 쉬운 직선으로 곡선의 그래프의 모양을 해석해주는 유용한 도구이기 때문이에요. 사실 유리함수의 그래프는 대칭의 중심을 기준으로 확대해서 보면 곡선 두 개가 배치된 모양이지만, 그래프를 축소해서 조금만 멀리서 바라보면 십자가 모양의 두 점근선의 모양과 거의 차이가 없습니다. 다음 그림은 유리함수
유리함수
①
주어진 수식
따라서 답은 ③번입니다.
함수
①
이러한 모양은
그런데 이 함수의 식에다가 절댓값을 씌운
식 전체에다가 절댓값을 씌운다는 건 함숫값이 음수가 될 경우 양수로 바꾸겠다는 것이므로
그리고 두 점근선이 바로
따라서
그런데
따라서
따라서
따라서 답은 ④번입니다.
♥ 이해가 잘 되셨다면 공감과 선플은 포스팅 강의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 이해가 잘 안 되신 부분은 댓글을 통해 질문을 주세요.
♥ 본문의 내용은 추가, 보완될 수 있습니다.
유리함수의 역함수 구하는 법, 역함수의 특징 (고1 수학 함수 개념) (0) | 2023.02.20 |
---|---|
유리함수 y=(ax+b)/(cx+d)에 대한 자세한 이해 (고1 수학 함수 개념) (7) | 2022.12.15 |
유리함수 y=k/x의 그래프의 추가성질 - 꼭짓점과 접선 (고1수학 함수) (0) | 2022.11.10 |
유리함수 y=k/x의 그래프에 대한 자세한 이해 (고1수학 함수) (0) | 2022.11.01 |
유리식 및 유리함수에 대한 자세한 이해 (고1수학 함수) (2) | 2022.10.25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