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복소평면에서 드무아브르 정리를 이용하여 복소수(허수)의 거듭제곱 구하기 (고1 수학 방정식과 부등식)

본문

반응형

복소평면에서 드무아브르 정리를 이용하여 복소수(허수)의 거듭제곱 구하기 (고1 수학 방정식과 부등식)

바이어슈트라스 타원 함수
바이어슈트라스 타원 함수는 복소수를 변수로 한 함수로 복소평면 위에 투영된 그래프를 그리면 위의 그림과 같이 주기성을 띕니다.
holymah의 캐릭터이미지

 안녕하세요? holymath입니다. 이 카테고리의 포스팅은 2015개정 고등학교 1학년 수학의 개념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해설하는 글입니다. 수학을 공부할 때는 공식과 문제 푸는 요령을 외워서 푸는 게 아니라 개념이 만들어진 근본적인 원리와 개념들 사이의 연관성을 생각하면서 공부해야 합니다. 이 포스팅을 통해 교과서나 참고서에 있는 수학 개념을 제대로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지난 포스팅에서 복소수를 이용하여 음수의 제곱근을 정의하고 구하는 법을 알아보았습니다.  복소수 단원을 끝내기 전에 복소수와 관련된 문제 중 흔히 출제되는 복소수의 거듭제곱에 대한 얘기를 해보고자 합니다.

 

● 들어가기

 복소수는 대체로 거듭제곱을 하면 간단한 실수가 만들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특히, 그중에는 거듭제곱을 하여 $1$이 되어 제곱을 할수록 같은 값을 거치며 순환하는 복소수도 많이 존재하죠. 이때 $n$제곱하여 $1$이 되는 $n$의 최솟값을 주기라 할 수 있는데 문제집에서는 이를 활용한 문제를 묻는 경우가 많습니다.

다음 문제를 풀어볼까요?

 

예제1


이렇게 단순히 몇 번 곱하면 그 패턴이 드러나서 답을 구할 수 있는 형태의 문제인데 문제에서 수식을 어떻게 제시하느냐에 따라 꽤나 귀찮은 계산을 해야 할 수도 있죠. 물론 반복적인 계산만으로도 웬만한 문제는 거의 해결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지금부터 소개하는 내용은 고등학교의 교육과정을 훨씬 뛰어넘는 내용이니까요.

혹시 복소수에서 왜 이런 패턴이 나타나며 이러한 패턴을 보이는 복소수는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 궁금증을 가진 분들이 있다면 오늘 소개하는 내용이 그 해답이 됩니다.

반응형

● 복소평면

 복소수가 실수와 다른 점은 하나의 복소수를 결정하기 위해 실수부분과 허수부분의 두 수가 필요하다고 말한 적이 있었죠. 따라서 지금까지 실수를 표현한 것과 다르게 수직선 위에는 허수를 표현할 수 없고 다음과 같이 좌표평면 위의 점의 좌표를 표현하는 것처럼 평면좌표를 도입해야 합니다.

복소평면

이때, 가로축은 실수부분, 세로축은 허수부분이 되는데 이런 좌표평면을 복소평면이라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실수 $a$, $b$에 대하여 복소수 $a+bi$의 위치는 그림과 같이 나타냅니다.

a+bi의 위치

예를 들어, 복소평면에서 $3+4i$의 위치는 다음과 같아요.

3+4i의 위치

 

● 복소수의 절댓값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는 소수에 대해서는 절댓값을 정의한 적이 없었지만, 복소수에서도 절댓값을 정의할 수 있습니다. 여러분이 실수에서의 절댓값의 정의를 어떻게 기억하고 계실지는 모르겠지만 절댓값이란 단순히 마이너스를 없애는 개념이 아니고 그 실수에서 원점까지의 거리를 의미해요. 예를 들어 $-5$의 절댓값이 $5$인 이유는 수직선에서 $-5$와 $0$ 사이의 거리가 $5$이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원리를 확장해서 복소수의 절댓값은 그림과 같이 복소평면에서의 복소수가 나타내는 점과 원점까지의 거리를 의미합니다.

복소평면에서의 절댓값의 의미

이 거리를 $r$로 놓고 위의 그림에서 가로길이가 $a$, 세로 길이가 $b$인 직각삼각형의 빗변의 길이로서 생각하면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해 $r^2=a^2+b^2$이므로 $r= \sqrt{a^2+b^2}$임을 쉽게 알 수 있죠. 즉, 복소수 $z=a+bi$ ($a$, $b$는 실수)의 절댓값은 다음과 같이 정의됩니다.

$|z|= \sqrt{a^2+b^2}$

켤레복소수를 이용하여 표현하면 $|z|=\sqrt{z \overline{z}}$가 됩니다. 예를 들어 복소수의 $4-3i$의 절댓값은 다음의 계산을 통해 $5$임을 구할 수 있어요.

$|4-3i|= \sqrt{4^2+(-3)^2}=5$

복소수는 그 자체로는 대소비교를 할 수 없지만, 절댓값의 개념을 이용하면 복소수끼리도 대소비교가 가능해집니다.

 

● 복소수의 편각과 극형식

 이와 같이 복소수를 평면에 표현하면 그로 인해 원점과의 거리로서 절댓값을 정의할 수 있고 그림처럼 원점까지 이은 선분이 가로축인 실수축과 이루는 각 $\theta $ 또한 하나로 결정됩니다.

복소수의 편각

이 각 $\theta $를 $z=a+bi$의 편각(argument)라 부르며 $\theta =\mathrm{arg} (z)$로 나타냅니다. 물론 이런 전문 기호까지 알 필요는 없으니 여기서는 그냥 편각이라고만 부르겠습니다.

 중요한 것은 원점까지의 거리 $r$과 실수축과의 편각 $\theta $가 정해지면 복소평면 위에서 딱 하나의 고유한 위치가 정해지기 때문에 복소수 $z$가 나타내는 위치를 $(r,~\theta)$와 같이 나타낼 수도 있다는 거예요. 즉, 임의의 복소수 $z$는 실수부분과 허수부분를 변수로 하는 대신 $r$과 $\theta $를 변수로 하여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습니다.

$z=r( \mathrm{cos} \theta + i \mathrm{sin} \theta)$

이 식을 복소수의 극형식이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복소평면에서 허수 $1+\sqrt{3}i$의 위치는 다음 그림에서 표시한 점과 같습니다.

1+루트3i의 편각

그럼 이 수의 절댓값은 $2$이고 그림의 직각삼각형에서 각 $\theta$의 값은 $60^{\circ}$이죠. 따라서 이 수는 극형식으로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어요.

$1+\sqrt{3}i=2(\mathrm{cos} 60^{\circ} + i \mathrm{sin} 60^{\circ})$

 

● 드무아브르 정리

 이제 오늘의 강의에서 소개할 개념의 종착지까지 왔습니다. 위에서 복소수의 극형식에 대해 알아봤는데 여기서 특별히 $|z|=r=1$이 되면 오직 편각 $\theta$만으로 복소수를 표현할 수 있게 되죠. 이때 다음의 성질이 성립하는데 이게 바로 드무아브르의 정리(De Moivre's theorem)입니다.

$( \mathrm{cos} \theta + i \mathrm{sin} \theta)^n = \mathrm{cos} (n \theta) + i \mathrm{sin} (n \theta)$

 이 놀라운 정리는 이름 그대로 프랑스 출신의 영국 수학자 드무아브르(1667~1754)가 만든 것으로 일반적으로 $n$이 유리수일 때 성립하지만, 편의상 자연수로 생각하고 기억하시면 돼요. 이 정리는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수준을 한참 벗어나지만 $n$을 자연수로 한정하면 고등학교의 미적분 과목에서 등장하는 삼각함수의 배각 공식과 2학년 과정인 수학적 귀납법을 이용하여 증명이 가능합니다. 고1 수준에서는 이 정리의 증명을 할 수는 없지만, 이 공식을 잘 써먹을 수 있으면 복소수의 거듭제곱에서 매우 강력한 힘을 발휘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복소수 $z=\frac{1+i}{\sqrt{2}}$의 절댓값을 구하면 $\frac{1^2+1^2}{2}=1$이죠. 이제 이 수를 거듭제곱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특정 복소수의 거듭제곱

그리고 이 값들을 복소평면에 나타내면 다음 그림과 같습니다.

거듭제곱한 복소수의 위치

보다시피 처음 $z$와 이 수를 거듭제곱한 수들의 절댓값은 모두 $1$임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z$의 편각은 $45^{\circ}$이고 $z^2$의 편각은 $90^{\circ}$, $z^3$의 편각은 $135^{\circ}$, 이렇게 제곱을 거듭할수록 편각은 $45^{\circ}$씩 증가합니다. 즉, $z$를 $n$제곱하였더니 $z$의 편각은 $n$배가 되고 있죠. 이러한 규칙에 의해 거듭제곱을 계속하면 $z^8=1$이 됨을 알 수 있습니다.

 

● 활용 문제 풀이

위에서 풀었던 예제1을 배운 내용으로 다시 풀어보겠습니다.

예제1


 

이와 같이 드무아브르의 정리를 활용하면 절댓값이 1인 복소수의 거듭제곱을 계산하는데 매우 유용합니다. 또한, 절댓값이 1이 아니더라도 식을 적절히 변형한 다음 편각을 $n$배 하는 방법으로 거듭제곱을 구할 수 있습니다.

 

예제2


 

♥ 이해가 잘 되셨다면 좋아요와 선플은 포스팅 강의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 이해가 잘 안 되신 부분은 댓글을 통해 질문을 주세요.
 본문의 내용은 추가, 보완될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