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holymath입니다. 이 카테고리의 포스팅은 2015개정 고등학교 1학년 수학의 개념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해설하는 글입니다. 수학을 공부할 때는 공식과 문제 푸는 요령을 외워서 푸는 게 아니라 개념이 만들어진 근본적인 원리와 개념들 사이의 연관성을 생각하면서 공부해야 합니다. 이 포스팅을 통해 교과서나 참고서에 있는 수학 개념을 제대로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지난 포스팅에서 무리식 및 무리함수의 뜻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본격적으로 무리함수의 그래프의 개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무리함수는 근호 안에 문자가 포함된 무리식으로 이루어진 함수로서 제일 대표적이면서 간단한 무리함수의 예는
기본적으로 근호 안의 수가 음수가 되어선 안되므로 이 함수의 정의역은
이제 이 함수의 역함수를 구해보겠습니다. 다음과 같이
이렇게 우리에게 친숙한 이차함수가 되는 것을 알 수 있죠. 따라서 이 그래프를 바탕으로 역함수
위와 같이 무리함수의 그래프는 이차함수의 그래프를 절반으로 뚝 잘라서 직선
이제 변수
입니다. 그리고 치역은
따라서 함수
예를 들어
즉,
무리함수
이상을 종합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기본적으로 네 함수 모두 원점에서부터 그래프가 시작되며 근호 안의 상수와 밖의 상수가 양수인지 음수인지에 따라 그래프가 몇 사분면 쪽으로 뻗어나가는지 결정됩니다.
♥ 이해가 잘 되셨다면 좋아요와 선플은 포스팅 강의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 이해가 잘 안 되신 부분은 댓글을 통해 질문을 주세요.
♥ 본문의 내용은 추가, 보완될 수 있습니다.
수학으로 사랑 고백하는 법 (고1 수학 원의 방정식, 무리함수로 완벽한 하트 그래프 그리기) (5) | 2023.09.18 |
---|---|
무리함수 y=±√(ax+b)+c의 그래프에 대한 자세한 이해 (고1 수학 함수) (5) | 2023.09.16 |
무리식, 무리함수에 대한 자세한 이해 (고1 수학 함수) (0) | 2023.08.29 |
유리함수의 역함수 구하는 법, 역함수의 특징 (고1 수학 함수 개념) (0) | 2023.02.20 |
유리함수 y=(ax+b)/(cx+d)에 대한 자세한 이해 (고1 수학 함수 개념) (7) | 2022.12.15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