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holymath입니다. 이 카테고리의 포스팅은 2015개정 고등학교 1학년 수학의 개념을 보다 쉽고 자세히 이해할 수 있도록 해설하는 글입니다. 수학을 공부할 때는 공식과 문제 푸는 요령을 외워서 푸는 게 아니라 개념이 만들어진 근본적인 원리와 개념들 사이의 연관성을 생각하면서 공부해야 합니다. 이 포스팅을 통해 교과서나 참고서에 있는 수학 개념을 제대로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직전 포스팅에서 항등식에 대한 개념을 다루었는데 그 이유는 오늘 다룰 내용인 나머지정리를 유도하는 데 핵심 원리가 되기 때문입니다. 여기서 나머지는 다항식의 나눗셈에서 발생하는 그 나머지를 말하는데 우리가 나눗셈을 할 때는 대체로 일차식으로 나누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리고 일차식으로 나눌 때는 특성상 나머지는 항상 상수가 되는데, 이렇게 다항식을 일차식으로 나눌 때 나타나는 성질을 좀 더 알아보는 단원이 나머지정리입니다. 그리고 이 원리를 통해 인수분해를 하기 위한 중요한 기술을 얻을 수 있습니다.
나머지정리에 대한 내용을 간단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위에서도 말했듯이 이것을 유도하는 핵심 원리는 몫과 나머지의 개념과 항등식입니다.
간단한 원리죠? 나눗셈 결과를 몫과 나머지로 나타내고 수치대입법을 한 번 적용했더니
즉, 나머지정리의 핵심은 일차식으로 나눌 때의 나머지를 구하고 싶으면 일일이 나눗셈 계산을 하지 않고도 그 일차식의 값이 0이 되는
예를 들면 예전 포스팅에서
이제
가 되어 위에서 구했던 나머지와 일치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예전에 풀어본 예제 중에 다항식
이 문제도 마찬가지로 일차식
이 되어 역시 나눗셈에서 구한 나머지인 0과 일치하는 걸 알 수 있습니다.
결국 아무리 복잡한 다항식이라도 일차식으로 나눈 나머지는 수치만 대입해서 계산할 수 있다는 거죠. 예를 들어, 다항식
물론 나머지정리는 몫까지 구하지는 못합니다. 그러나 나머지정리만으로 우리는 임의의 다항식이 일차식으로 나누어 떨어지는지 아닌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이는 곧 인수분해의 핵심원리인 인수정리로 이어집니다. 또한 나머지정리로부터 복잡한 다항식을 다루는 유형들을 많이 물어볼 수 있으므로 이제부터 소개하는 예제들을 잘 숙지하고 가셔야 합니다.
다항식
나머지정리의 교과서 대표유형입니다. 다항식
나머지정리에 따라 문제의 조건들을 식으로 변환하면
이제
그리고
이제부터 어떻게 해야 할지 감이 오시나요? 나머지정리로부터 얻은 조건
연립방정식을 풀면
다항식
예제1에서 한 단계 발전된 유형입니다.
그다음
위의 등식을 보면
가 됩니다. 이렇게 하면 3개였던 미지수가 하나로 줄어들었죠? 이제 남은 조건인
따라서
삼차다항식
(가) (나) |
㈏ 조건을 통해 다항식
와 같이 식을 세울 수 있습니다. 여기에다
문제에서는
따라서
따라서
이므로
앞에서 언급한 대로 나머지정리는 임의의 다항식을 일차식으로 나눌 때, 나누어 떨어지는지 아닌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이것은 아래의 인수정리로 이어집니다.
위에서
①
연립방정식을 풀면
♥ 이해가 잘 되셨다면 공감과 선플은 포스팅 강의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 이해가 잘 안 되신 부분은 댓글을 통해 질문을 주세요.
♥ 본문의 내용은 추가, 보완될 수 있습니다.
복잡한 수(큰 수)의 나눗셈의 나머지를 구하는 원리 및 방법 (고1 수학 다항식, 나머지정리의 활용) (8) | 2023.05.25 |
---|---|
조립제법의 원리 및 활용에 대한 자세한 이해 (고1수학 다항식의 나눗셈) (2) | 2023.04.22 |
항등식에 대한 자세한 이해 (고1수학 다항식) (0) | 2023.04.19 |
다항식의 나눗셈 기본 개념, 원리에 대한 자세한 이해 (고1 수학 다항식) (0) | 2023.03.30 |
헤론의 공식 유도 및 활용에 대한 자세한 이해 (고1수학 다항식의 곱셈 심화) (4) | 2023.03.12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