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holymath입니다. 이 카테고리의 포스팅은 2015개정 고등학교 1학년 수학의 개념을 보다 쉽고 자세히 이해할 수 있도록 해설하는 글입니다. 수학을 공부할 때는 공식과 문제 푸는 요령을 외워서 푸는 게 아니라 개념이 만들어진 근본적인 원리와 개념들 사이의 연관성을 생각하면서 공부해야 합니다. 이 포스팅을 통해 교과서나 참고서에 있는 수학 개념을 제대로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명제 파트의 세 번째 강의입니다. 저번 강의에서 조건에 들어있는 변수에 특정한 조건을 부여하면 명제가 된다고 얘기한 적이 있었죠. 이 시간에는 변수 앞에 '모든'이나 '어떤'이 들어간 명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다음 명제들의 참, 거짓을 판단해 볼까요?
모든 사람의 키는 2미터 이하이다. 어떤 사람의 키는 10미터 이상이다. 모든 실수 어떤 소수는 짝수이다. |
위의 네 문장이 모두 명제인 것은 이해할 수 있겠죠. '모든 사람의 키는 2미터 이하이다.'는 거짓인 명제입니다. 왜냐하면 소수이지만 2미터가 넘는 사람도 존재하기 때문이죠. '어떤 사람의 키는 10미터 이상이다.' 역시 거짓이죠. 인류 역사상 키가 10미터 이상인 사람이 존재한 일은 없으니까요.
'모든 실수
이와 같이 조건
일반적으로 전체집합
'모든
가 참이라는 것은 어느 누구도 예외 없이
또한, 명제
'어떤
가 참이라는 것은 누군가는
이상으로부터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 ‘모든’이나 ‘어떤’이 있는 명제의 참, 거짓 | ||
명제 | 모든 |
어떤 |
다른 표현 | ||
참일 조건 | ||
거짓일 조건 |
다음 추가 예시를 통해 개념을 익혀보세요.
실수
'모든 실수
가 참인 명제가 되도록 하는
문제의 부등식
따라서
집합
간단한 문제 같지만 명제가 "어떤
1) 3은 속하고 6은 속하지 않는
2) 3은 속하지 않고 6은 속하는
3) 3과 6 둘 다 속하는
따라서 답은
지난 강의에서 다음 예시를 든 적이 있었죠.
구분 | 곱으로 나타낸 결과 | 풀어서 나타낸 결과 |
조건 | ||
조건의 부정 |
이것을 두 수의 곱이 아니라 여러 개의 수의 곱으로 확장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 곱으로 나타낸 결과 | 풀어서 나타낸 결과 |
조건 | 어떤 |
|
조건의 부정 | 모든 |
이 예시에 의하면 '어떤
구분 | 집합의 연산으로 나타낸 결과 | 원소를 중심으로 표현한 결과 |
조건 | 모든 |
|
조건의 부정 | 즉, |
어떤 즉, 어떤 |
이 예시에 의하면 '모든
위에서 정리한 내용에 의하면 '모든
■ ‘모든’이나 ‘어떤’이 있는 명제의 부정 | |
|
|
다음 예시를 통해 배운 개념을 익혀보세요.
'모든 한국인의 혈액형은 A형이다.'의 부정은?
① 모든 한국인의 혈액형은 A형이 아니다.
② 어떤 한국인의 혈액형은 A형이 아니다.
③ 한국인이 아닌 모든 사람의 혈액형은 A형이다.
④ 한국인이 아닌 어떤 사람의 혈액형은 A형이다.
⑤ 한국인이 아닌 어떤 사람의 혈액형은 A형이 아니다.
문제에서 주어진 명제는 거짓이죠. 이런 명제의 부정을 구할 때 실수할 수 있는 부분이 답을 ①번으로 찍는 것이죠. 하지만 ①번 또한 참이 아닙니다. 위에서 정리한 원리에 의하면 답은 ②번이 됩니다.
앞의 예제2를 다시 풀어보겠습니다.
집합
주어진 명제가 참이 되도록 만드는 것을 바꿔서 표현하면 주어진 명제의 부정이 거짓이 되도록 만드는 것과 같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는 ‘집합
그렇다면 모든
이제 이 개수를 전체 부분집합의 개수에서 빼면 됩니다. 집합
♥ 이해가 잘 되셨다면 공감과 선플은 포스팅 강의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 이해가 잘 안 되신 부분은 댓글을 통해 질문을 주세요.
♥ 본문의 내용은 추가, 보완될 수 있습니다.
정의, 증명, 정리의 개념 및 증명 문제 해결법 (고1수학 집합과 명제) (1) | 2022.08.23 |
---|---|
명제 'p이면 q이다. (p→q)'의 부정에 대한 자세한 이해 (고1수학 집합과 명제) (20) | 2022.08.21 |
명제와 조건의 부정 및 '그리고'와 '또는'의 관계 (고1수학 집합과 명제) (8) | 2022.08.18 |
명제와 조건, 진리집합에 대한 자세한 이해 (고1수학 집합과 명제) (8) | 2022.08.13 |
집합의 활용 - 각종 문제 유형 탐색 및 풀이 (고1수학 집합과 명제) (5) | 2022.08.10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