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합성함수의 그래프 그리기에 대한 자세한 원리, 요령 및 방법 (고1수학 합성 함수 심화)

고1 수학의 남다른 개념/함수

by holymath 2022. 10. 5. 20:56

본문

반응형

합성함수의 그래프 그리기에 대한 자세한 원리, 요령 및 방법 (고1수학 합성 함수 심화)

심장박동 그래프
심장박동 그래프는 여러 선분들이 모여서 만들어진 꺾인 선의 모양을 이룹니다. (그림 출처: 심심해닷컴(심장박동그래프) : 네이버 카페 (naver.com))

 

holymath의 캐릭터 이미지

 안녕하세요? holymath입니다. 이 카테고리의 포스팅은 2015개정 고등학교 1학년 수학의 개념을 보다 쉽고 자세히 이해할 수 있도록 해설하는 글입니다. 수학을 공부할 때는 공식과 문제 푸는 요령을 외워서 푸는 게 아니라 개념이 만들어진 근본적인 원리와 개념들 사이의 연관성을 생각하면서 공부해야 합니다. 이 포스팅을 통해 교과서나 참고서에 있는 수학 개념을 제대로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지금까지 합성함수의 개념과 기본 성질, 사다리 타기 게임의 원리까지 알아보았는데요. 합성함수와 관련된 문제를 풀 때 가장 중요한 것이 치환이지만, 심화 문제까지 대비하려면 추가적으로 해봐야 하는 연습이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합성함수의 그래프를 그리는 요령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들어가기

다음은 교과서에 있는 합성함수의 그래프 문제입니다.

교과서의 합성함수 그래프 그리기 문제
자료 출처: 좋은책 신사고 수학

합성함수를 구하고 그 그래프까지 그리기 위해서 가장 원시적으로 접근하는 방법은 수식에 직접 대입해 보는 거죠. 

두 함수 $f(x)$와 $g(x)$가 각각 다음의 수식으로 이루어졌다는 것은 어렵지 않게 알아낼 수 있습니다.

$f(x)=\begin {cases} 2x & (0\leq x\leq 1) \\ 4-2x & (1< x\leq 2) \end{cases}$

$g(x)=\begin{cases} 1-x & (0\leq x\leq 1) \\ 2x-2 & (1< x\leq 2) \end{cases}$

이제 $f\circ g$를 구하기 위해 $f(x)$의 $x$에다가 $g(x)$를 다음과 같이 대입합니다.

$f({\color{Red}g(x)})=\begin{cases} 2{\color{Red}g(x)} & (0\leq {\color{Red}g(x)}\leq 1) \\ 4-2{\color{Red}g(x)} & (1< {\color{Red}g(x)}\leq 2) \end{cases}$

보다시피 수식에만 ${\color{Red}g(x)}$가 들어가는 것이 아니라 정의역의 조건에도 ${\color{Red}g(x)}$가 같이 들어간다는 점에 주목하세요.

g(x)가 1미만인 경우와 1이상인 경우로 나눈 그림

이때 위의 그래프에 의해 $0\leq g(x)\leq 1$이면 $0\leq x\leq {\color{Blue}\frac{3}{2}}$이고

$1< g(x)\leq 2$이면 ${\color{Blue}\frac{3}{2}}<x\leq 2$입니다.

따라서 위에서 대입한 $f(g(x))$는 다음과 같이 풀 수 있어요.

$f({\color{Red}g(x)})=\begin{cases} 2{\color{Red}g(x)} & (0\leq x\leq {\color{Blue}\frac{3}{2}}) \\ 4-2{\color{Red}g(x)} & ({\color{Blue}\frac{3}{2}}<x\leq 2) \end{cases}$

먼저 ${\color{DarkGreen}\frac{3}{2}<x\leq 2}$ 일 때는 $4-2{\color{Red}g(x)}=4-2{\color{Red}(2x-2)}={\color{Orchid}8-4x}$입니다.

그런데 $2{\color{Red}g(x)}~~(0\leq x\leq {\color{Blue}\frac{3}{2}})$의 경우 ${\color{DarkGreen}0\leq x\leq 1}$일 때는 $2{\color{Red}(1-x)}=2={\color{Orchid}2-2x}$이지만 ${\color{DarkGreen}1< x\leq \frac{3}{2}}$일 때는 $2{\color{Red}(2x-2)}={\color{Orchid}4x-4}$이죠. 따라서 구하는 $f\circ g$는 다음과 같이 정리됩니다.

$f(g(x))=\begin{cases} {\color{Orchid}2-2x} & ({\color{DarkGreen}0\leq x\leq 1}) \\ {\color{Orchid}4x-4} & ({\color{DarkGreen}1<x\leq \frac{3}{2}}) \\ {\color{Orchid}8-4x}
 & ({\color{DarkGreen}\frac{3}{2}<x\leq 2})\end{cases}$

따라서 이 식을 바탕으로 $y=(f\circ g)(x)$의 그래프를 그리면 다음과 같습니다.

y=(f&ordm;g)(x)의 그래프

범위를 나누는 과정에서 실수만 하지 않으면 어떻게든 합성함수를 구하고 그 그래프를 그리는 것이 가능하지만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걸린다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어요.

그래서 이러한 합성함수를 보다 쉽고 빠르게 구하는 요령을 지금부터 알아보겠습니다.

 

일차식으로 된 함수의 합성 요령

이전 포스팅에서 일차함수끼리 합성하면 합성함수 또한 일차함수가 된다는 사실을 알아본 바 있습니다.(https://holymath.tistory.com/entry/합성함수의-기본성질)

여기서는 부제목을 일차함수가 아니라 '일차식으로 된 함수'라고 했어요. 즉, 식 하나로 이루어진 단순한 일차함수뿐만 아니라 구간 별로 여러 개의 일차식으로 된 함수를 합성하는 경우에도 특정 구간에서는 일차식으로 표현되므로 그 그래프는 직선이나 선분을 이루게 됩니다. 위에서 구한 $y=(f\circ g)(x)$의 경우도 $f(x)$와 $g(x)$가 구간별로 일차식을 나타내므로 합성함수 $y=(f\circ g)(x)$의 그래프 또한 구간별로 선분을 나타냈죠.

그리고 직선은 그 특성상 두 점만 찍어도 그릴 수 있고, 선분은 양 끝점을 구하면 그릴 수 있습니다. 이 성질을 이용하면 함수의 식을 일일이 구할 필요 없이, 각 구간에서 선분의 양 끝점의 위치만 찾아내서 그 점들을 연결하는 요령으로 합성함수의 그래프를 그릴 수 있어요.

이 방법으로 위에서 푼 문제를 다시 보겠습니다.

교과서의 합성함수 그래프 그리기 문제
자료 출처: 좋은책 신사고 수학

곧바로 그래프를 그리기 위해 다음과 같이 좌표평면을 세팅합니다. 여기서 $g$의 정의역은 $X=\left\{x~|~0\leq x\leq 2\right\}$이고 $f$의 치역은 $Y=\left\{y~|~0\leq y\leq 2\right\}$이므로 합성함수 $f\circ g$의 정의역과 치역도 각각 $X$, $Y$와 같다는 사실에 주목합니다.

정의역과 치역을 0부터 2까지로 둔 좌표평면

그다음 이 부분이 중요합니다. 함수 $g(x)$는 정의역이 $x=1$을 기준으로 수식이 다르므로 $(f\circ g)(x)$의 정의역 역시 $x=1$을 기준으로 구간을 나눠줍니다. 이다음 부분은 더 중요합니다. 합성할 함수 $f(x)$ 역시 정의역이 $x=1$을 기준으로 수식이 두 개로 나뉘죠. 따라서 $(f\circ g)(x)=f(g(x))$를 구하려면 $g(x)$의 치역이 $y=1$을 기준으로 큰지, 작은지에 따라 적용할 수식이 달라집니다. 따라서 좌표평면에다가 그림과 같이 보조선 $x=1$과 $y=1$을 추가하여 구간을 나눠줍니다.

좌표평면에 x=1&#44; y=1을 그려 구간을 나누고 y=g(x)의 그래프를 그린 그림

그리고 이 위에다가 우선 $y=g(x)$의 그래프를 먼저 그려줍니다. 그리고 이 그래프와 보조선이 만나는 교점을 모두 구해서 다음과 같이 (빨간색 점)표시한 다음 그 점에서의 $f(g(x))$의 값을 찾아주면 됩니다. 이 교점들의 $x$좌표 값들을 기준으로 각 구간마다 적용되는 수식이 모두 다르므로 각각 다른 그래프가 나타나게 됩니다.

위의 그림에서 주요 빨간점을 찍은 그림

이 빨간색 점들로 먼저 $f(g(x))$의 값을 구해주는 게 핵심이에요. 이 점들의 $x$ 좌표는 각각 $0$, $1$, $\frac{3}{2}$, $2$이므로 이들을 대입하면 $f(g(0))=f({\color{Red}1})={\color{Blue}2}$, $f(g(1))=f({\color{Red}0})={\color{Blue}0}$, $f(g(\frac{3}{2}))=f({\color{Red}1})={\color{Blue}2}$, $f(g(2))=f({\color{Red}2})={\color{Blue}0}$입니다. 즉, 위에서 구한 각 (빨간색)점의 $y$좌표를 $f(x)$에 대입하여 얻은 값을 $y$좌표로 하는 (파란색)점을 다음과 같이 표시해주는 절차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함성함수의 그래프의 일부분을 파란점으로 찍은 그림

이 점들이 바로 $y=(f\circ g)(x)$의 그래프인 선분이 꺾이는 지점이 됩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이 점들을 선분으로 연결해주면 그래프가 완성됩니다. 위에서 수식을 통해 그린 그래프와 일치한다는 걸 알 수 있죠.

y=(f&ordm;g)(x)의 그래프

같은 방법으로 위의 문제에서 $y=(g\circ f)(x)$의 그래프 또한 그릴 수 있어요. 이 그래프를 그리는 건 독자님께 과제로 남겨도 되겠죠?

반응형

 

 연습 문제 풀이

 

예제1

집합 $X=\left\{x~|~0\leq x\leq 3\right\}$에 대하여 두 함수

$f:X~$→$~X$,  $g:X~$→$~X$

의 그래프가 각각 다음과 같다. 방정식 $(g\circ f)(x)=3-x$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를 구하시오.

y=f(x)와 y=g(x)의 그래프

더보기

방정식 $(g\circ f)(x)=3-x$의 경우 치환해서 간단하게 접근할 방법이 없기 때문에 이 문제에서는 어쩔 수 없이 $(g\circ f)(x)$를 직접 구해야 합니다. 이 문제처럼 실근의 개수만 필요할 경우 함수의 그래프가 적절한 전략입니다.

이제 $y=(g\circ f)(x)$의 그래프를 그리기 위해 위에서 연습했던 것처럼 $y=f(x)$의 그래프를 놓고 좌표평면을 세팅합니다. 이때 $f(x)$는 $x=1$을 기준으로 함수 식이 나뉘고, $g(x)$는 $x=2$을 기준으로 함수 식이 나뉘므로 좌표평면에다 두 직선$x=1$ $y=2$를 그어서 구간을 나눠줍니다.

y=f(x)의 그래프에 직선 x=1&#44; y=2을 그려서 구간을 나눈 그림

이제 그은 직선과 $y=f(x)$의 그래프와의 교점 및 그래프의 시작점과 끝점을 다음과 같이 모두 표시합니다.

관찰할 주요 점을 빨간 점으로 찍은 그림

표시한 점들의 $y$좌표를 합성할 함수 $g(x)$에 모두 대입하여 구하고, 그 값들을 $y$좌표로 하는 점들을 표시합니다.

함수 g(f(x))의 주요 점을 보라색 점으로 찍은 그림

나눠진 각 구간에서 표시한 점들을 선분으로 연결하여 그래프를 완성합니다.

y=g(f(x))의 그래프

문제에서 요구한 방정식 $(g\circ f)(x)=3-x$을 풀기 위해 이 식을 $\left\{\begin{matrix} y=(g\circ f)(x) \\ y=3-x~~~~~ \end{matrix}\right.$로 놓고 다음과 같이 두 방정식의 그래프를 비교합니다.

y=g(f(x))의 그래프와 y=-x+3의 그래프

두 그래프의 서로 다른 교점이 $3$개인 걸 알 수 있죠? 따라서 구하는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3$입니다.


 

정의역이 $\left\{x~|~0\leq x\leq 4\right\}$인 함수

$f(x)=$ $\begin{cases} -2x+3 & (0\leq x< 1) \\ \frac{1}{2}x+\frac{1}{2} & (1\leq x< 3) \\ 2x-4 & (3\leq x\leq 4)\end{cases}$

에 대하여 방정식 $(f\circ f)=x^2-2x+2$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를 구하시오.

더보기

주어진 방정식을 수식으로 일일이 푸는 건 너무 복잡하겠죠. 이 문제도 역시 방정식의 실근의 개수를 물었으므로, 그래프를 그려서 접근하면 됩니다. 함수 식의 무려 3개로 나뉘어 있어서 번거로워 보이지만 다음의 그래프를 나타낸다는 건 어렵지 않게 알아낼 수 있을 거예요.

y=f(x)의 그래프

이 함수는 $x=1$과 $x=3$을 기준으로 수식이 나뉘므로 $(f\circ f)(x)$의 그래프를 구하려면 다음과 같이 직선 $x=1$, $x=3$, $y=1$, $y=3$을 그려주고 그래프와의 교점을 표시합니다.

y=f(x)의 그래프에 x=1&#44; x=3&#44; y=1&#44; y=3을 각각 그려 구간을 나눈 그림

표시한 (파란색)점들의 $y$좌표를 합성할 함수 $f(x)$에 모두 대입하여 구하고, 그 값들을 $y$좌표로 하는 점들을 다음과 같이 표시(보라색 점)합니다.

y=f(f(x))의 주요 함숫값을 보라색 점으로 찍은 그림

이 점들을 각 구간에서 선분으로 연결하여 그래프를 완성합니다.

y=f(f(x))의 그래프

이제 문제에서 요구한 방정식 $(f\circ f)(x)=x^2-2x+2$를 풀기 위해 이 식을 $\left\{\begin{matrix} y=(f\circ f)(x)~~ \\ y=x^2-2x+2 \end{matrix}\right.$로 놓고 다음과 같이 두 방정식의 그래프를 비교합니다. 여기서 $y=x^2-2x+2=(x-1)^2+1$이므로 이 그래프는 $y=x^2$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1$만큼,  $y$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그래프임을 알 수 있어요.

y=f(f(x))의 그래프와 y=x&sup2;-2x+2의 그래프

이제 거의 다 왔어요. 두 그래프를 비교해서 교점이 몇 개인지만 파악하면 됩니다. 교점이 몇 개일까요? 여기서 육안으로 대충 파악하고 교점이 $2$개라고 답 하신다면, 힘들게 그래프를 구해놓고 마지막에 틀려버리는 참사가 일어납니다.

자명하게 보이는 교점을 파란점으로 찍은 그림

$2$개라고 답하신 분은 위의 그림에서 파란색으로 표시한 교점을 보셨겠죠? 하지만, 결론부터 말하면 교점은 $2$개가 아니라 $3$개입니다. 왜 $3$개일까요?  이것이 어리둥절하다면 이전에 공부한 이차함수의 그래프의 성질을 놓친 거예요. 

이차함수의 그래프의 꼭짓점에서의 접선은 다음과 같이 기울기가 $0$임을 알고 있겠죠? 

포물선의 꼭짓점 위에서의 접선

이 말은 즉, 이차함수 그래프의 꼭짓점을 지나는 직선은 기울기가 $0$일 때만 그림처럼 교점이 딱 한 개가 되고 여기에서 기울기가 조금만 달라져도 접선이 아니라 포물선을 자르고 지나가는 할선이 된다는 겁니다. 위에서 그린 $y=(f\circ f)(x)$의 그래프에서 포물선의 꼭짓점을 지나는 선분의 기울기가 $\frac{1}{4}$인데, 이것을 프로그램을 통해 그려서 확대해보면 실제로 다음과 같은 그래프 모양이 됩니다. 그림에서 $(1,~1)$로 표시한 위치가 포물선의 초점이고 그 오른쪽으로 교점이 하나 더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죠.

꼭짓점을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가 0이 아닐 때의 모습

이상으로부터 방정식 $(f\circ f)=x^2-2x+2$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3$입니다.


 

♥ 이해가 잘 되셨다면 공감과 선플은 포스팅 강의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 이해가 잘 안 되신 부분은 댓글을 통해 질문을 주세요.
 본문의 내용은 추가, 보완될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